▲ 부산시의회 이승연 의원
[무한뉴스=양현명 기자] 부산시의회 도시안전위원회 이승연 의원(수영2)은 제330회 임시회 본회의‘5분자유발언’을 통해서 반복되는 폭염 재난에 대한 부산시의 획일적 · 단기적 대응 방식의 한계를 지적하며, 지역 맞춤형·데이터 기반의 폭염 대응체계 구축과 함께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공간 구조의 장기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폭염은 기후 요인 중 인명 피해가 가장 큰 재난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실제로 지구 평균기온은 이미 1.09℃ 상승했고, 임계점인 1.5℃ 도달 시점은 2040년 이전으로 앞당겨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여름철 평균기온과 폭염일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승연 의원은“폭염은 단순한 기온 상승이 아닌, 인구 밀집·녹지 부족·열섬현상 등 도시 구조와 맞물려 더욱 심각해지는 복합 재난”이라며,“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산시는 여전히 그늘막, 무더위쉼터, 생수·선풍기 배포와 같은 일회성, 물리적 대응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최근 3년간 부산시의 폭염 예산은 2023년 약 18.8억 원에서 2025년 8.8억 원으로 절반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업 내용 또한 쿨링포그, 그늘막 등 시설물 설치 위주로 편중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사업의 실효성은 낮고, 시민 체감도도 매우 저조하다는 평가가 잇따르고 있다.
이승연 의원은 그 원인으로 “폭염을 전담할 행정 조직과 인력의 부재”를 지목했다.
현재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폭염 대응 업무가 다른 재난과 겸임되고 있으며, 중앙정부 지침을 그대로 반복하는 하향식 대응 방식으로 인해 지역 특성과 실정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따라 이 의원은 ▶ 지역 맞춤형 폭염 취약성 지도를 구축하여 폭염 예산과 대응시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배분하고, ▶폭염·한파·홍수 등 복합 기후재난에 대응할 전담 부서 설치 및 상시 인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한, 하얀 지붕, 쿨 포장 등 도시 열섬 완화 인프라 도입을 통해, 도시공간 구조의 장기적인 대응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승연 의원은 “폭염은 해마다 반복되는 자연현상이 아니라 도시 구조와 안전 수준을 시험하는 기후 재난”이라며, “이제는 더위에 견디는 도시가 아니라, 과학과 데이터로 대응하는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무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