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한뉴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8월 31일 ‘2020년 8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8월 공시에서는 공시 대상 총 415개 대학의 학생 1인당 교육비, 장학금 규모, 학자금 대출, 교원 연구비, 사립대학 적립금 및 기부금, 입학 전형료 등의 정보를 대학알리미를 통해 공시했으며 4년제 일반대학 및 교육대학 196개교 및 전문대학 134개교에 대한 분석 결과도 공개했다.
’19년 일반대학 및 교육대학의 학생 1인당 교육비는 1,590.1만원으로 전년보다 23.3만원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은 1,797.4만원으로 전년보다 69.6만원, 사립대학은 1,523.0만원으로 전년보다 8.4만원 증가했다.
수도권대학은 1,785.8만원으로 전년보다 17.5만원, 비수도권대학은 1,427.8만원으로 전년보다 25.7만원 증가했다.
’19년 일반대학 및 교육대학의 장학금 총액은 4조 6,384억원으로 전년보다 1,085억원 감소했다.
장학금 총액의 재원별 구성을 살펴보면, 국가 장학금 2조 7,099억원, 교내 장학금 1조 7,590억원, 사설 및 기타 1,449억원, 지방자치단체 245억원 순이다.
다만, '18년부터 단계적으로 입학금을 폐지하고 있어 '18년 대비 407억원, '17년 대비 948억원의 장학금 확충 효과가 발생했다.
’19년 일반대학 및 교육대학의 학생 1인당 장학금은 연간 327.3만원으로 전년보다 5.2만원 감소했다.
국공립대학은 270.9만원으로 전년보다 0.7만원 증가, 사립대학은 344.5만원으로 전년보다 7.0만원 감소했다.
수도권대학은 325.8만원으로 전년보다 7.2만원, 비수도권대학은 328.4만원으로 전년보다 3.7만원 감소했다.
’20년 한국장학재단을 통해 학자금 대출을 이용한 학생 수는 459,872명으로 전년보다 3,236명 감소했다.
일반상환 학자금대출 이용자 수는 191,512명으로 전년보다 13,445명 감소했고 취업후 상환 학자금대출 이용자 수는 268,360명으로 전년보다 10,209명 증가했다.
학자금 대출 이용률은 13.9%로 전년과 같았다.
국공립대학의 학자금 대출 이용률은 10.4%로 사립대학보다 4.6%p 낮았고 수도권대학은 14.7%로 비수도권대학보다 1.5%p 높았다.
’19년 일반대학 및 교육대학의 연구비 총액은 5조 9,383억원으로 전년보다 3,529억원 증가했고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도 8,264.2만원으로 전년보다 463.9만원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의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는 10,593.3만원으로 전년보다 322.5만원 증가했고 사립대학은 7,445.8만원으로 전년보다 510.0만원 증가했다.
수도권대학의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는 11,345.0만원으로 전년보다 672.0만원, 비수도권대학은 5,886.6만원으로 전년보다 286.4만원 증가했다.
’19년 일반 사립대학의 교비회계 적립금은 7조 8,817억원으로 전년보다 983억원 증가했다.
적립금의 구성 비율을 살펴보면, 건축기금이 45.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특정목적기금, 장학기금, 연구기금, 퇴직기금 순이었다.
’19년 일반 사립대학의 기부금은 6,298억원으로 전년보다 457억원 증가했다.
수도권대학의 기부금은 4,430억원으로 전년보다 554억원 증가 했으며 비수도권 대학은 1,868억원으로 전년보다 97억원 감소했다.
’19년 일반대학 및 교육대학의 신·편입생 평균 입학전형료는 49.1천원으로 전년보다 0.2천원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은 32.9천원으로 전년보다 0.6천원 증가했으나, 사립대학은 52.5천원으로 전년과 같았다.
수도권대학이 58.8천원으로 전년보다 0.1천원 증가 했으며 비수도권 대학은 36.5천원으로 전년보다 0.1천원 증가했다.
’19년 전문대학의 학생 1인당 교육비는 1,035.6만원으로 전년보다 0.2만원 감소했다.
국공립대학은 1,687.8만원으로 전년보다 169.3만원 증가했고 사립대학은 1,024.7만원으로 전년보다 2.9만원 감소했다.
수도권대학은 1,027.2만원으로 전년보다 3.9만원 증가했고 비수도권대학은 1,042.1만원으로 전년보다 3.6만원 감소했다.
’19년 전문대학의 장학금 총액은 1조 4,913억원으로 전년보다 269억원 감소했다.
장학금 총액의 재원별 구성을 살펴보면, 국가 장학금 1조 824억원, 교내 장학금 3,910억원, 사설 및 기타 140억원, 지방자치단체 40억원 순이다.
다만, '18년부터 단계적으로 입학금을 폐지하고 있어 '18년 대비 147억원, '17년 대비 358억원의 장학금 확충 효과가 발생했다.
’19년 전문대학의 학생 1인당 장학금은 연간 351.1만원으로 전년보다 8.4만원 감소했다.
국·공립대학은 220.0만원으로 전년보다 6.6만원 증가했고 사립대학은 353.3만원으로 전년보다 8.7만원 감소했다.
수도권대학은 346.6만원으로 전년보다 9.8만원, 비수도권대학은 354.6만원으로 전년보다 7.3만원 감소했다.
’20년 한국장학재단을 통해 학자금 대출을 이용한 학생 수는 135,831명으로 전년보다 4,591명 감소했다.
일반상환 학자금대출 이용자 수는 35,344명으로 전년보다 9,081명 감소했고 취업후 상환 학자금대출 이용자 수는 100,487명으로 전년보다 4,490명 증가했다.
이에 따라 학자금 대출 이용률은 16.1%로 전년보다 0.5%p 하락했다.
국·공립대학의 학자금 대출 이용률은 8.5%로 사립대학 보다 7.7%p 낮았고 수도권대학은 17.7%로 비수도권대학보다 2.9%p 높았다.
’19년 사립대학의 교비회계 적립금은 2조 4,989억원으로 전년보다 469억원 증가했다.
적립금의 구성 비율을 살펴보면, 건축기금이 70.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특정목적기금, 장학기금, 퇴직기금, 연구기금 순이었다.
’19년 사립 전문대학의 기부금은 529억원으로 전년보다 84억원 증가했다.
수도권대학의 기부금은 246억원으로 전년보다 12억원 증가 했으며 비수도권 대학은 283억원으로 전년보다 73억원 증가했다.
’19년 전문대학의 신·편입생 평균 입학전형료는 30.1천원으로 전년보다 0.6천원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은 26.0천원으로 전년보다 0.4천원, 사립대학은 30.1천원으로 전년보다 0.6천원 증가했다.
수도권대학은 33.0천원으로 전년보다 0.8천원 증가 했으나, 비수도권 대학은 21.5천원으로 전년보다 0.5천원 감소했다.
이번 8월 공시에서는 공시 대상 총 415개 대학의 학생 1인당 교육비, 장학금 규모, 학자금 대출, 교원 연구비, 사립대학 적립금 및 기부금, 입학 전형료 등의 정보를 대학알리미를 통해 공시했으며 4년제 일반대학 및 교육대학 196개교 및 전문대학 134개교에 대한 분석 결과도 공개했다.
’19년 일반대학 및 교육대학의 학생 1인당 교육비는 1,590.1만원으로 전년보다 23.3만원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은 1,797.4만원으로 전년보다 69.6만원, 사립대학은 1,523.0만원으로 전년보다 8.4만원 증가했다.
수도권대학은 1,785.8만원으로 전년보다 17.5만원, 비수도권대학은 1,427.8만원으로 전년보다 25.7만원 증가했다.
’19년 일반대학 및 교육대학의 장학금 총액은 4조 6,384억원으로 전년보다 1,085억원 감소했다.
장학금 총액의 재원별 구성을 살펴보면, 국가 장학금 2조 7,099억원, 교내 장학금 1조 7,590억원, 사설 및 기타 1,449억원, 지방자치단체 245억원 순이다.
다만, '18년부터 단계적으로 입학금을 폐지하고 있어 '18년 대비 407억원, '17년 대비 948억원의 장학금 확충 효과가 발생했다.
’19년 일반대학 및 교육대학의 학생 1인당 장학금은 연간 327.3만원으로 전년보다 5.2만원 감소했다.
국공립대학은 270.9만원으로 전년보다 0.7만원 증가, 사립대학은 344.5만원으로 전년보다 7.0만원 감소했다.
수도권대학은 325.8만원으로 전년보다 7.2만원, 비수도권대학은 328.4만원으로 전년보다 3.7만원 감소했다.
’20년 한국장학재단을 통해 학자금 대출을 이용한 학생 수는 459,872명으로 전년보다 3,236명 감소했다.
일반상환 학자금대출 이용자 수는 191,512명으로 전년보다 13,445명 감소했고 취업후 상환 학자금대출 이용자 수는 268,360명으로 전년보다 10,209명 증가했다.
학자금 대출 이용률은 13.9%로 전년과 같았다.
국공립대학의 학자금 대출 이용률은 10.4%로 사립대학보다 4.6%p 낮았고 수도권대학은 14.7%로 비수도권대학보다 1.5%p 높았다.
’19년 일반대학 및 교육대학의 연구비 총액은 5조 9,383억원으로 전년보다 3,529억원 증가했고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도 8,264.2만원으로 전년보다 463.9만원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의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는 10,593.3만원으로 전년보다 322.5만원 증가했고 사립대학은 7,445.8만원으로 전년보다 510.0만원 증가했다.
수도권대학의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는 11,345.0만원으로 전년보다 672.0만원, 비수도권대학은 5,886.6만원으로 전년보다 286.4만원 증가했다.
’19년 일반 사립대학의 교비회계 적립금은 7조 8,817억원으로 전년보다 983억원 증가했다.
적립금의 구성 비율을 살펴보면, 건축기금이 45.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특정목적기금, 장학기금, 연구기금, 퇴직기금 순이었다.
’19년 일반 사립대학의 기부금은 6,298억원으로 전년보다 457억원 증가했다.
수도권대학의 기부금은 4,430억원으로 전년보다 554억원 증가 했으며 비수도권 대학은 1,868억원으로 전년보다 97억원 감소했다.
’19년 일반대학 및 교육대학의 신·편입생 평균 입학전형료는 49.1천원으로 전년보다 0.2천원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은 32.9천원으로 전년보다 0.6천원 증가했으나, 사립대학은 52.5천원으로 전년과 같았다.
수도권대학이 58.8천원으로 전년보다 0.1천원 증가 했으며 비수도권 대학은 36.5천원으로 전년보다 0.1천원 증가했다.
’19년 전문대학의 학생 1인당 교육비는 1,035.6만원으로 전년보다 0.2만원 감소했다.
국공립대학은 1,687.8만원으로 전년보다 169.3만원 증가했고 사립대학은 1,024.7만원으로 전년보다 2.9만원 감소했다.
수도권대학은 1,027.2만원으로 전년보다 3.9만원 증가했고 비수도권대학은 1,042.1만원으로 전년보다 3.6만원 감소했다.
’19년 전문대학의 장학금 총액은 1조 4,913억원으로 전년보다 269억원 감소했다.
장학금 총액의 재원별 구성을 살펴보면, 국가 장학금 1조 824억원, 교내 장학금 3,910억원, 사설 및 기타 140억원, 지방자치단체 40억원 순이다.
다만, '18년부터 단계적으로 입학금을 폐지하고 있어 '18년 대비 147억원, '17년 대비 358억원의 장학금 확충 효과가 발생했다.
’19년 전문대학의 학생 1인당 장학금은 연간 351.1만원으로 전년보다 8.4만원 감소했다.
국·공립대학은 220.0만원으로 전년보다 6.6만원 증가했고 사립대학은 353.3만원으로 전년보다 8.7만원 감소했다.
수도권대학은 346.6만원으로 전년보다 9.8만원, 비수도권대학은 354.6만원으로 전년보다 7.3만원 감소했다.
’20년 한국장학재단을 통해 학자금 대출을 이용한 학생 수는 135,831명으로 전년보다 4,591명 감소했다.
일반상환 학자금대출 이용자 수는 35,344명으로 전년보다 9,081명 감소했고 취업후 상환 학자금대출 이용자 수는 100,487명으로 전년보다 4,490명 증가했다.
이에 따라 학자금 대출 이용률은 16.1%로 전년보다 0.5%p 하락했다.
국·공립대학의 학자금 대출 이용률은 8.5%로 사립대학 보다 7.7%p 낮았고 수도권대학은 17.7%로 비수도권대학보다 2.9%p 높았다.
’19년 사립대학의 교비회계 적립금은 2조 4,989억원으로 전년보다 469억원 증가했다.
적립금의 구성 비율을 살펴보면, 건축기금이 70.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특정목적기금, 장학기금, 퇴직기금, 연구기금 순이었다.
’19년 사립 전문대학의 기부금은 529억원으로 전년보다 84억원 증가했다.
수도권대학의 기부금은 246억원으로 전년보다 12억원 증가 했으며 비수도권 대학은 283억원으로 전년보다 73억원 증가했다.
’19년 전문대학의 신·편입생 평균 입학전형료는 30.1천원으로 전년보다 0.6천원 증가했다.
국공립대학은 26.0천원으로 전년보다 0.4천원, 사립대학은 30.1천원으로 전년보다 0.6천원 증가했다.
수도권대학은 33.0천원으로 전년보다 0.8천원 증가 했으나, 비수도권 대학은 21.5천원으로 전년보다 0.5천원 감소했다.
[ⓒ 무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