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한뉴스] 서울 용산구가 2019년도 지방재정 결산 결과를 구 홈페이지에 게시했다.
재정공시는 1년간 재정운용 결과와 주민 관심사항 등을 객관적 절차를 통해 주민에게 공개하는 제도다.
2019회계연도 기준 용산구 살림규모는 6258억원이다.
2018년 대비 1091억원 늘었다.
살림규모란 자체수입 이전재원 내부거래를 모두 합친 금액이다.
지난해 구 자체수입은 2024억원, 이전재원은 2677억원, 내부거래는 1557억원이었다.
구 관계자는 “구 살림규모는 종로·광진·동대문구 등 유사 지자체 평균액보다 1897억원 적지만 자체수입만 놓고 보면 498억원이나 많다”며 “구 자체세입 비율이 양호하고 재정여건이 비교적 양호하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2019년 말 기준 구 채무도 없다.
공유재산은 2018 회계연도 보다 1443억원 늘어난 2조 2016억원 규모다.
유사 지자체 평균액보다 4680억원이 많다.
2019회계연도 구 세출 총계는 5165억원이다.
2018 회계연도보다 116억원 커진 수준. 주민 1인당 세출액도 198만원으로 전년도보다 44만원 늘었다.
최근 5년간 세출연평균 증가율은 12.1%로 복지정책 확대로 인해 증가 추세다.
세출액은 다시 일반회계 특별회계 기금으로 나뉜다.
일반회계 집행률은 사회복지, 일반공공행정, 환경보호 분야 순이었다.
구는 공통공시 외에도 이태원제2동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배문고등학교 주변 보행환경 개선, 용산공예관 운영, 한강로 펌프장 유입관로 보수보강, 이봉창 의사 기념관 건립 등 현안사업 8건도 특수 공시했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지난해 재정운용 결과와 구민 관심사항을 구청 홈페이지에 공개했다”며 “앞으로도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구민에게 더 많은 혜택이 돌아 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재정공시는 1년간 재정운용 결과와 주민 관심사항 등을 객관적 절차를 통해 주민에게 공개하는 제도다.
2019회계연도 기준 용산구 살림규모는 6258억원이다.
2018년 대비 1091억원 늘었다.
살림규모란 자체수입 이전재원 내부거래를 모두 합친 금액이다.
지난해 구 자체수입은 2024억원, 이전재원은 2677억원, 내부거래는 1557억원이었다.
구 관계자는 “구 살림규모는 종로·광진·동대문구 등 유사 지자체 평균액보다 1897억원 적지만 자체수입만 놓고 보면 498억원이나 많다”며 “구 자체세입 비율이 양호하고 재정여건이 비교적 양호하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2019년 말 기준 구 채무도 없다.
공유재산은 2018 회계연도 보다 1443억원 늘어난 2조 2016억원 규모다.
유사 지자체 평균액보다 4680억원이 많다.
2019회계연도 구 세출 총계는 5165억원이다.
2018 회계연도보다 116억원 커진 수준. 주민 1인당 세출액도 198만원으로 전년도보다 44만원 늘었다.
최근 5년간 세출연평균 증가율은 12.1%로 복지정책 확대로 인해 증가 추세다.
세출액은 다시 일반회계 특별회계 기금으로 나뉜다.
일반회계 집행률은 사회복지, 일반공공행정, 환경보호 분야 순이었다.
구는 공통공시 외에도 이태원제2동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배문고등학교 주변 보행환경 개선, 용산공예관 운영, 한강로 펌프장 유입관로 보수보강, 이봉창 의사 기념관 건립 등 현안사업 8건도 특수 공시했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지난해 재정운용 결과와 구민 관심사항을 구청 홈페이지에 공개했다”며 “앞으로도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구민에게 더 많은 혜택이 돌아 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무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