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박재호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미래 신기술 도입에 따른 정부인력운용방안’ 연구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18개 중앙 부처 공무원 1만2,000명 중 신기술 도입으로 3,006명이 대체 가능했다.
부처별로 보면, 행안부가 가장 많은 인력을 대체할 수 있었고 외교부, 기재부, 국토부가 뒤를 이었다.
[별첨1] 부처별 AI 대체 가능 인원 및 비율 반면, 여가부, 통일부, 중기부는 상대적으로 대체 가능 인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처 전체 인원 대비 대체 가능 인력을 비교해 보면 외교부가 38%로 가장 높았다.
이는 외교부 내 통번역 등 공무직이 많기 때문이었다.
[별첨2] 기능별 AI 대체 가능 인원 대체율이 가장 낮은 부처는 중기부였고 국방부, 행안부, 산업부·과기부가 낮게 나타났다.
대체 가능 업무를 살펴보면 서무, 민원 업무는 539명이 대체 가능하고 회계 업무의 경우 507명이 신기술로 대체가 가능했다.
조직 내 행정운영, 소프트웨어 관리 등도 인력 대체가 클 것으로 전망됐다.
자동화 가능 시기는 평가 분석 업무의 경우 전체 기능의 50%가 10년 이내, 행정운영 기능은 38%가 6-10년 이내 대체 가능할 것으로 도출됐다.
특히 5년 이내 공무원 인력 대체를 위한 신기술이 상용될 것으로 내다봤다.
박재호 의원은 “4차 혁명으로 인한 미래 신기술의 발달은 행정 조직에서의 인력 수요 뿐 만 아니라 시민들이 정부에게 요구하는 행정수요와 정부의 역할에도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며 “미래 신기술을 고려한 정부조직 효율화에 대한 검토가 본격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조직간, 기능간 재배치가 아니라 신기술을 대체 할 수 있는 분야와 인력이 추가로 요구되는 분야를 미리 예측해 미래 정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변화와 혁신방안을 선제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무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