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용역은 아주대학교 컨소시움에서 맡아 1년간 시행할 예정이며 대구공항의 장래 항공수요 예측을 토대로 현행 대구공항의 운영 및 이용객 특성을 조사해 이전 부지 내 민간공항 시설의 최적 입지와 규모를 산정하고 이용객들의 원할한 공항 접근을 위한 교통시설 계획도 검토할 예정이고 또한 공항 이전에 따른 직·간접적 파급효과와 소음감소 효과 등도 분석할 계획이며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라 공항을 통한 전염병 확산 가능성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점을 염두에 두고 여행객의 동선분리를 고려한 시설배치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번 대구공항 이전은 민간공항과 군 공항이 동시에 각각 다른 주체와 방식으로 추진됨에 따라, 군 공항 이전계획과 상충되지 않도록 대구시에서 추진중인 “대구 통합신공항 기본계획수립 용역”과 연계해 검토하고 국토부를 주축으로 국방부, 대구광역시, 경상북도와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전부지는 ‘20년 8월 28일에 군위와 의성 공동후보지로 결정된 바 있다.
국토교통부 김태병 공항항행정책관은 “이번 사전타당성 검토는 민간공항의 이전을 위한 밑그림을 그리는 작업으로 이용객의 편의는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에도 중점을 두었다”고 밝혔다.
[ⓒ 무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